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라틴어 수업 [한동일]

책소개/에세이

by gyaree 2018. 4. 9. 15:28

본문

반응형

라틴어 수업 [한동일]


De mea vita 나의 인생

라틴어 수업 시간, 선생님은 다음과 같은 숙제를 내준다.
"De mea vita" 우리 발음으로 "데 메아 비타" 뜻은 '나의 인생'이다. 라틴어를 배우는 수업시간에 '나의 인생'에 대해서 A4 용지 한 장 분량으로 적어 내라고 한다. 이 수업을 듣는 학생들은 외국어를 배우는 시간인데 웬 작문일까? 잠시 의문이 들었을 것이다. 문학 수업도 아닌데 글을 써내라니. 뭐, 학생뿐 아니라 이 책을 읽는 독자 입장에서도 교수가 왜 저런 숙제를 내줬을까 의문이 들었다. 외국어를 열심히 공부해보지는 않았지만 적어도 처음 외국어 수업을 들을 때, 일반적으로 했던 수업은 예컨대 "나는 누구입니다."라든가 "나는 몇 살입니다." 등등 최소한의 자기소개를 외국어로 말하는 법을 가르치며 시작한다. 아니면 고리타분하게 칠판 가득히 문법을 써놓는다거나. 이것이 내가 처음 외국어를 배우기 시작했을 때의 광경이다. 외국어를 배운다는 것. 나의 경우는 영어라 하겠다. 그 시절 영어 수업은 언어를 배운다는 생각보다는 지루하기 그지없는 외국 말의 문법 구조를 머릿속으로 때려 박아 쑤셔 넣는 느낌이었다. 한 나라의 언어를 배웠다기보다 선생님 머릿속에 있는 영어 문법을 배웠다.


다시 한번 "De mea vita"를 되뇌어 본다.


이 책을 한 단어로 말하라고 한다면 자신 있게 '성찰'이라 하겠다. 라틴어라는 어렵고 복잡한 언어를 배우는 것이 아닌 바로 나 자신을 알아가는 방법을 깨닫게 된다. 

나무는 끝이 시작이다.
언제나 끝에서 시작한다.
실뿌리에서 잔가지 우듬지
새순에서 꽃 열매에 이르기까지
나무는 전부 끝이 시작이다.

지금 여기가 맨 끝이다.
나무 땅 물 바람 햇빛도
저마다 모두 맨 끝이서 맨 앞이다.
기억 고독 그리움 절망 눈물 분노도
꿈 희망 공감 연민 연대도 사랑도
역사 시대 문명 진화 지구 우주도
지금 여기가 맨 앞이다.

지금 여기 내가 정면이다. 
- 이문재 - [지금 여기가 맨 앞] 


어떤 환경에서든지 성찰을 통해 자신의 가능성을 발견하고, 거기에서 곁가지를 뻗어 나가야 한다. 내 안의 땅을 단단히 다지고 뿌리를 잘 내리고 나면 가지가 있는 것은 언제든지 자라기 마련이라고 저자는 말한다. 


이 책을 읽으며 나 자신을 돌아봤을 때, 내 인생 전반에 걸쳐 진심으로 '성찰'을 해본 적이 없었던 것 같다. 그저 시간이 흐르는 대로 살아왔고 세월에 휩쓸려 별생각 없이 살았다. 아무런 계획도 미래 설계도 없이 현재 생활에 안주하는 허송세월을 했다. 지금까지 쌓아온 자리를 지키기 위해서. 어린나무는 곁가지를 뻗치면서 큰 나무로 커 나간다. 인간이 곁가지를 칠 수 있는 것은 오로지 '성찰'뿐이라는 것을 알지 못했다. 곁가지가 생겨야 삶의 미래도 여러 갈래의 길이 생겨날 수 있는데, 나의 나무엔 단 하나의 가지만 존재했다. 반성하고 살펴보지 않았고 그렇게 하는 것이 되려 두려움이 앞섰다. 지나간 일이라고, 이미 끝난 일이라고 새롭게 시작해보려는 마음조차 없었다. 그런데, '나무는 끝이 시작이다'라는 [지금 여기가 맨 앞]의 첫 구절에서 많은 것을 느낀다. 나무가 가지 끝에서 새로운 시작을 만들어내듯이 우리 인생도 마찬가지라는 것. 결코, 끝났다고 생각하지 말고 그곳에서 다시 새로이 시작할 수 있다고. 


[라틴어 수업]은 나도 이 저자의 강의를 들어보고 싶다는 생각을 품게 한다. 인생을 반백 년 가까이 살았어도 모르겠는 게 인생이다. 지금까지 살아온 인생에 후회는 없는 건지. 자기를 돌아볼 수 있게 해주는 책. 한 걸음 더 나아가 앞으로 내 인생에 곁가지를 칠 가능성을 보여준 책이라 생각한다. 


우리는 스스로 Summa cum laude. 숨마 쿰 라우데. (최우등)이라고 외쳐야 한다. 우리 스스로 낮추지 않아도 세상은 여러모로 우리를 위축되게 하고 보잘것없게 만드니까. 그런 가운데 우리 자신마저 스스로를 보잘것없는 존재로 대한다면 어느 누가 나를 존중해주겠습니까? 우리는 이미 스스로에, 또 무언가에 '숨마 쿰 라우데'입니다.       



우리는 학교를 위해서가 아니라, 인생을 위해서 공부한다.

페이지 56 / 우리는 학교를 위해서가 아니라, 인생을 위해서 공부한다.

지금 우리 사회 청년들이 더 힘든 것은, 공부를 많이 한 사람들의 철학이 빈곤하기 때문입니다. 자신이 한 공부를 나눌 줄 모르고 사회를 위해 쓸 줄 모르는 사람들이 너무 많아요. 소위 배웠다고 하는 사람들이 자기 주머니를 불리는 일에는 발군의 실력을 발휘하면서도, 다른 사람들이 착취당하며 사회구조적으로 계속 가난할 수밖에 없는 시스템에는 무신경해요. 자신의 개인적인 욕망과 자기 가족을 위해서는 발 빠르게 움직이면서도 어려운 사람들의 신음소리는 모른 척하기 일쑤입니다. 엄청난 시간과 열정을 들여 공부를 한 머리만 있고 따뜻한 가슴이 없기 때문에 그 공부가 무기가 아니라 흉기가 되어버린 것입니다.

NON SCHOLAE, SED VITAE DISCIMUS. (논 스콜래, 세드 비태 디쉬무스) - 세네카




페이지 57

배운 사람이 못 배운 사람과 달라야 하는 지점은 배움을 나 혼자 잘 살기 위해 쓰느냐 나눔으로 승화시키느냐 하는 데 있다고 생각합니다. '배워서 남 주는' 그 고귀한 가치를 위해 노력하는 사람이 진정한 지성인이 아닐까요? 공부를 많이 해서 지식인은 될 수 있을지 모르지만, 그 지식을 나누고 실천할 줄 모르면 지성인이라고 하기 어렵습니다.





Si vales bene est, ego valeo. Si vales bene, valeo.

Si vales bene est, ego valeo. 당신이 잘 계신다면 잘되었네요, 나는 잘 지냅니다.

Si vales bene, valeo. 당신이 잘 있으면, 나는 잘 있습니다.

"그대가 잘 있으면 나는 잘 있습니다"라는 로마인의 편지 인사말을 통해 생각해봅니다. 타인의 안부가 먼저 중요한, 그래서 '그대가 평안해야 나도 안녕하다'는 그들의 인사가 문득 마음 따뜻하게 다가옵니다. 내가 만족할 수 있다면, 내가 잘 살 수 있다면 남이야 어떻게 되든 별로 신경 쓰지 않는 요즘 우리의 삶이 위태롭고 애처롭게 느껴집니다. 사실 우리의 사고가 어느새 그렇게 변해버린 건 사람들의 마음이 나빠서가 아니라 누군가를 위해 마음을 낼 여유가 점점 없어지지 때문입니다.




우리 시대 웹툰작가들의 생존기 - STYING ALIVE
국내도서
저자 : 박인찬
출판 : 다할미디어 2017.04.25
상세보기
나도 웹툰 작가가 될 수 있다
국내도서
저자 : 박인찬,박세기
출판 : 혜지원 2016.05.07
상세보기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